여성 갱년기 이후 질건조증 치료방법

페경이후 질이 건조해 지면 어떤 치료 방법이 있을까?

저는 페경후 종종 질이 건조한 증상이 있는 데 성교시에 아픕니다.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여성들에게 폐경, 즉 갱년기 이후 질건조는 치명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.
질건조증은 비뇨기질염 또는 질 위축증으로 알려진 갱년기 증상의 전형직인 징후다.
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질 조직은 더 얇아지고 쉽게 자극을 받게 되는데 이는 폐경 중 신체 에스트로겐 수치의 자연적인 감소에 기인한다.

페경후 질건조증 치료방법으로 아래의 사항을 고려해 볼 수 있다.

  • 수용성 질 보습제, 며칠 간격으로 바르면 질 조직을 건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.
  • 질윤활제(아스트롤라이드,젤)를 사용하여 성관계 시 통증을 완화 할 수 있다.
  • 저용량 질 에스트로겐 크림, 전신호르몬 치료약이나 패치를 사용하고 있다고 해도 질 건조증과 관려 증상이 지속된다면 저용량 질 에스트로겐 치료를 진행 할 수도 있다. 유방암에 걸린 적이 있다면 질 에스트로겐 치료의 위험에 대해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.
  • 오스페닌(Ospemifene, Ospena)은 질 수축과 관련된 성교통을 치료하기 위해 입으로 복용하는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성 조절제(SERM)다. 유방암을 앓고 있거나 유방암 발병 위험이 높은 여성에게는 사용이 승인되지 않았다.
  • 디하이드로판드로스테론(DHEA)은 야뇨성 식약으로 미국 식품 의약청에 의해 폐경 여성의 고통스런 성교통을 치료하기 위해 승인되었다.

 

파트너 유무를 떠나 정기적인 성활동이나 질적 자극은 갱년기 이후 여성의 건강한 질 조직 유지를 돕니다.